'권력 감시’와 ‘세종시 정상추진’을 표방하고 지난 4일 출범한 세종참여자치시민연대의 역할이 급부상하고 있다.
세종참여자치연대가 출범 후 각종 세종시의 현안 및 업무에 대해 지적하고 나서 그 역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세종참여자치연대는 특히 지난해 7월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이후 정부부처 이전과 특별자치시 승격으로 인해 격상된 세종시 위상에 걸맞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의회에 대한 일상적이고 지속적인 권력 감시활동을 진행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아래 쓴 소리를 쏟아내고 있다.
이들은 17일 국회에서 안전행정위원회가 주최한 ‘세종시특별법 개정안 국회통과를 위한 공청회’에 앞서 “세종시설치법 개정안 원안도 부족하다”고 성명서를 발표하고. 행사가 진행되기 전인 오전 9시부터 국회정문에서 ‘세종시설치법 개정안 국회통과’를 위한 1인시위를 했다.
이들은 이날 성명서를 통해 “세종시 설치법과 관련한 의견수렴은 지난해 9월 5일 세종시민에 대한 공청회와 9월 24일 국회공청회를 통해 충분히 진행했고, 18대 국회에서도 여러차례 논의 됐었다”며 “이번 공청회는 새누리당과 이명박 정부의 행안부에서 대선 전 국회통과 반대를 위해 제기한 ‘의견수렴 부족’ 때문에 진행하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이런 상황에서 이번 공청회가 지난 국회부터 이어진 지루한 공방과 흠집내기를 재연한다면 박대통령의 세종시 정상추진 의지는 다시 의심받을 것”이라며 “박 대통령이 지난 4일 세종정부청사를 방문해 정상 추진에 강한 의지를 보였고, 유정복 안행부 장관은 인사청문회 자리에서 세종시에 대한 행정적 재정적 뒷받침을 다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듯이 전부개정안 원안통과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에 앞서 “유한식 세종시장은 편법인사 특혜에 책임지고 시민에게 사과하라”고 성명서를 발표하고 세종시 인사의혹 해명을 촉구했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세종시가 출범한 이후인 2012년 7월 11일부터 9월 10일까지 18명이나 비공개로 세종시로 전입된 사실이 감사원 감사결과 밝혀졌다”고 지적하고 “유한식 시장은 불미스러운 인사혜택에 대해 최고 인사권자로서 시민들에게 사과하라”고 주장했다.
한편, 세종시참여자치연대는 지난 15일 취임한 홍영표 행복청 차장에 대해 임명을 철회하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기사 바로가기 클릭 :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24259
세종=정장희 기자